
일반적으로 도미넌트 진행은 P5th 하강, 혹은 반음 하강을 합니다 어떤 종류의 도미넌트 코드는 그런 진행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특별한 진행 방법을 가진 도미넌트 코드를 스페셜 펑션 도미넌트라고 합니다 이는 SFD라고 하는데 SFD 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1도 7입니다 이것은 원래 1도maj7 코드를 블루 지한 울림을 가지도록 변화시킨 것입니다 전형적인 예로서는 블루스 장르의 첫 시작하는 코드가 바로 1도 7입니다 스케일은 메이저 스케일의 일곱 번째 음정을 반음 내린 믹솔리디안입니다 두번째는 2도 7입니다 이 코드는 원래 5도 7로 진행하는 더블 도미넌트로 나타납니다 전형적인 진행은 2도 7 - 2도m7 / 5도7 - 1도 라는 진행입니다 하지만 이 코드가 직접 1도로 진..

도미넌트란 메이저 다이어토닉 코드 중에서 다섯 번째 루트음으로 하고 그 위로 다이어토닉 스케일의 음정을 3도씩 쌓아올린 5도 7 코드를 의미합니다 또한 그 코드 속에서는 증 4도라는 불협화음을 만드는 음정이 있기 때문에 불안정한 울림을 가지며 토닉으로 진행해서 안정되려는 성향을 가진 코드입니다 이런 성향을 이용한 진행은 다이어토닉 코드안에서 5도 7에서 1도 됩니다 하지만 1도 이외의 코드를 가상으로 1도로 보고 그 코드 앞에 5도 7에 해당하는 코드를 두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5도 7을 세컨더리 도미넌트라고 합니다 이것은 가상의 1도를 토닉으로 보고 잠시 조바꿈을 하는것과 비슷하지만 원래의 조바꿈과는 조금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세컨더리 도미넌트 앞에 가상의 1도와 2도 m7에 해당되는..

각 메이저 다이아토닉 코드는 앞서 설명한 세 가지 기능을 가지게 되며 그 중에서 가장 그 역할을 잘하는 세가지 코드를 주요 3화음이라고 하며 굉장히 많이 나오는 기본적인 내용중 하나입니다 토닉은 1도 Maj7 서브 도미넌트는 4도 Maj7 도미넌트는 5도7 그 빡의 코드는 주요 3화음 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Suv라고 표기된 코드는 대리의 약자입니다 2m7은 서브도미넌트 3m7은 토닉 6m7는 토닉 7도m7(b5)는 도미넌트입니다 이코드들은 대리코드로 굉장히 많이 쓰이는 코드이며 각각의 기능들이 있습니다 서브도미넌트의 경우 C키의 2도는 Dm7 이며 구성음은 도 파 라 도 입니다 이것은 F6코드와 구성음이 같으며 F6의 자리바꿈 형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Dm7은 F6와 같은 기능 또한 ..
- Total
- Today
- Yesterday
- 마이너b5코드
- 도미넌트
- 스케일분석
- 마이너스케일
- 편곡
- 서브도미넌트
- 코드분석
- 디미니쉬 코드
- 음악
- 다이어토닉
- 메이저
- 재즈공부
- 코드톤
- 음악코드
- 도미넌트코드
- 어베일러블스케일
- 내추럴마이너
- 멜로딕마이너
- 세컨더리도미넌트
- 음향
- 코드
- 서브도미넌트마이너
- 대리코드
- 스케일분섣ㄱ
- 스페셜펑션도미넌트
- 코드편곡
- 투파이브원
- 자연단음계
- 멜로딕 마이너
- 서브 도미넌트 마이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