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톤 서브스티튜트 코드
도미넌트 코드가 토닉으로 진행할 때, 안정감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소는 도미넌트 코드 속에 있는 불협화음을 만드는 두 개의 음정이 각각 반음 진행해서 토닉 속에서 화음을 이루는 음정으로 진행하는 것입니다 트라이톤은 도미넌트 코드 속에서 코드의 루트음에서 봤을 때 하나는 장 3도, 다른 하나는 단 7도에 해당합니다 G7을 예로 생각해보면 트라이톤을 만드는 음정은 B음과 F음입니다 B음은 G음에서 봤을 떄 장 3도, F음은 단 7도가 됩니다 트라이톤 서브스티튜트 코드는 장 3도와 단 7도의 관계를 생각했을 때, 루트음이 되는 도미넌트 코드를 말합니다 앞선 G7의 예로 설명하자면 B음이 단7도가 되고 F음이 장 3도가 되는 음정 즉 Db음을 루트음으로 삼는 도미넌트 코드를 G7의 트라이톤 서브스티튜트 코드라고..
jazz music
2020. 12. 24. 17:1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투파이브원
- 멜로딕마이너
- 메이저
- 내추럴마이너
- 도미넌트
- 세컨더리도미넌트
- 디미니쉬 코드
- 서브 도미넌트 마이너
- 음향
- 마이너스케일
- 코드분석
- 자연단음계
- 음악코드
- 대리코드
- 스페셜펑션도미넌트
- 서브도미넌트
- 코드
- 음악
- 재즈공부
- 편곡
- 코드편곡
- 스케일분섣ㄱ
- 마이너b5코드
- 멜로딕 마이너
- 스케일분석
- 다이어토닉
- 서브도미넌트마이너
- 도미넌트코드
- 어베일러블스케일
- 코드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