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소절 째 G7 : 3 소절 째의 Cm7(2 도 m7 : 서브 도미넌트의 대리)에 대한 세컨더리 도미넌트입니다 우선 멜로디를 분석해보면 이부분에서는 G7코드의 루트음 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따라서 도미넌트 스케일을 사용합니다 Cm7으로 진행하는 세컨더리 도미넌트로서 마이너 코드로 진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HmP5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 취향에 따라 선택하려고 하면 모든 도미넌트 스케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최우선 순위는 HmP5이지만 다른 스케일을 선택할 가능성은 개인의 판단에 맡기는 것입니다 4 소절째의 A7 : 5 소절 째의 Dm7(3도 m7 : 토닉의 대리)에 대한 세컨더리 도미넌트입니다 이 부분의 멜로디도 앞선 G7과 마찬가지로 코드의 루트음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결론도 동일합니다 ..
재즈에 관한 포스팅을 하기 앞서 재즈세션을 하고 있는 뮤지션 중에서도 사실 이론을 잘 모른다고 말하는 사람이 정말 많습니다 이론을 잘 모르더라도 실제 연주에는 큰 지장을 주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밴드와 어울릴 때 항상 어딘가 불편하고 그럴 것입니다 악기를 배울때는 이론의 이자도 모르 채로 시작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그 자체로도 행복하기 때문에 하지만 실용음악을 알게 되고 재즈에 대해서 알게 되면 각 악기 분야에서 애드리브 솔로를 연주하는 기회가 늘어나도 스탠더드뿐만 아니라 다양한 곡들을 연주해야만 합니다 이때부터 이론을 잘 모르게 되면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됩니다 평소에 어려운 곡은 잘 연주하지 않기 때문에 웬만한 이론은 필요성이 없다고 느끼는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악보를 보면서 왜 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연단음계
- 멜로딕마이너
- 코드분석
- 서브도미넌트마이너
- 대리코드
- 재즈공부
- 서브 도미넌트 마이너
- 세컨더리도미넌트
- 편곡
- 음악
- 코드
- 음향
- 마이너스케일
- 음악코드
- 마이너b5코드
- 코드톤
- 어베일러블스케일
- 스케일분섣ㄱ
- 서브도미넌트
- 내추럴마이너
- 메이저
- 투파이브원
- 도미넌트코드
- 도미넌트
- 스케일분석
- 다이어토닉
- 스페셜펑션도미넌트
- 코드편곡
- 디미니쉬 코드
- 멜로딕 마이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